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은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한 종류이다. 다른 인플루엔자바이러스와 달리 사람에게 감염된 사례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으며, 인플루엔자바이러스 C형과 아미노산 구성이 유사하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은 다른 인플루엔자바이러스와 달리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B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B형은 RNA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A형과는 다른 항원 교차 반응을 보이며, B/야마가타와 B/빅토리아 계통으로 나뉘고, A형보다 느린 속도로 돌연변이를 일으켜 매년 백신 성분이 변경된다. -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은 헤마글루티닌(H)과 뉴라미니다아제(N) 조합에 따라 아형이 나뉘며 조류, 돼지, 사람 등 다양한 종에 감염될 수 있고, 높은 변이율로 팬데믹을 일으킬 수 있어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한 바이러스이다. - 인플루엔자 - 백신
백신은 약화된 병원체나 일부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계를 활성화, 특정 질병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의약품으로 감염병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 발생 가능성과 효과의 다양성, 백신 거부와 오해로 인한 접종률 저하 및 감염병 확산의 위험이 존재하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안전성과 효능이 향상되고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백신들이 개발되고 있다. - 인플루엔자 - 인플루엔자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은 A형 및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질병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능동 면역 백신으로,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 이후 개발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제조 방식의 3가 또는 4가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년 유행하는 균주에 맞춰 재구성되지만 효능은 변동될 수 있고 부작용 가능성이 존재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감염병에 관한 - 피로
피로는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 고갈 상태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약물 치료, 정신 건강 도구 활용, 생활 습관 개선 등 다양한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 감염병에 관한 - SARS-CoV-2
SARS-CoV-2는 COVID-19 팬데믹을 일으킨 양성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로, 스파이크 단백질의 후린 절단 부위와 다양한 변이체를 가지며, 말굽박쥐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RT-PCR 검사로 진단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위 분류 | 델타인플루엔자바이러스속 |
종 | D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과학적 분류 | |
역 | 리보바이러스역 |
계 | 오르토르나바이러스계 |
문 | 네가르나바이러스문 |
강 | 인스토바이러스강 |
목 | 아티큘라바이러스목 |
과 |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
속 | 델타인플루엔자바이러스속 |
종 | D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
기타 | |
PMID | 28812422 |
PMC | 5810478 |
DOI | 10.1080/21505594.2017.1365216 |
ISSN | 1999-4915 |
2.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며, A, B, C, D 네 가지 항원형으로 구분된다.[25]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은 가장 심각한 유형이며, 인플루엔자바이러스 B형은 그 다음으로 심각하지만 여전히 유행병을 일으킬 수 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C형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가벼운 증상을 유발한다.[26]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은 이 중 가장 드물며, 현재까지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킨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인플루엔자 A형은 주로 조류를 통해 감염되지만, B, C, D형은 동물을 매개로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28][23] C형과 D형은 분리가 어려워 알려진 정보가 많지 않지만, 전 세계적으로 널리 발견된다.[23][27]
인플루엔자 D형 바이러스는 정상적인 폐 온도인 37°C에서 잘 배양되며, C형 바이러스보다 더 잘 복제될 수 있다. 다른 인플루엔자바이러스보다 변이가 느리게 일어나며, 폐 감염 이후 몇 차례 변이를 거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23]
2. 1. 역사 및 분류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며, A, B, C, D 네 가지 항원형이 있다.[25] 이 중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은 가장 드물고, 사람을 감염시킨 사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인구의 1.3% 정도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의 헤마토글루티닌화를 억제하는 항체를 보유하고 있어, 아직 발견되지 않은 감염 사례가 존재할 수 있다는 추측도 있다. 그러나 이 항체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C형 감염 후에도 생성되므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이 사람을 감염시키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23]인플루엔자바이러스 C형과 아미노산 배열이 절반 정도 유사하다.[23][27] C형과 D형은 대략 1500년 전인 서기 482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 자체에도 두 아류가 있는데, 대략 1972년 정도에 분기된 것으로 보인다.[23]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은 다른 인플루엔자바이러스보다 변이 속도가 느리다.[23]
2. 2. 전파 및 감염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은 표면에서 짧은 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어 호흡기 비말이나 무생물 매개물을 통해 전파된다.[26] 잠복기는 18~72시간으로 비교적 짧으며, 기도의 상피세포를 감염시킨다.[26]최근 연구에 따르면 일반 인구의 약 1.3%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에 대한 항체를 보유하고 있어 사람 간 감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23] 그러나 이 항체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C형 감염 후에도 생성될 수 있으므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의 사람 감염 여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23]
3. 구조와 변종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외피를 가진 RNA 바이러스이며 단일가닥 유전체를 가지고 있다.[23][29] 기질 단백질(M1)과 핵단백질(NP)은 바이러스 유형(A, B, C, D형)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26] M1 단백질은 바이러스 조립에, NP는 전사와 복제에 관여한다.[30][31]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표면에 당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A형과 B형은 헤마글루티닌(HA)와 뉴라미니다아제(NA)를, C형과 D형은 헤마글루티닌 에스테라아제 융합 당단백질(HEF)을 갖는다.[26][32][23] 이 당단백질은 바이러스막과 세포막 융합을 돕고, 융합 후 바이러스 유전체와 단백질이 숙주세포 내로 방출되어 감염을 일으킨다.[33] C형과 D형은 에스테라아제를 발현하는 유일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이며, 이 효소는 A형과 B형의 뉴라미니다아제와 유사하게 숙주세포 수용체를 파괴한다.[34][23]
인플루엔자 D 바이러스는 아미노산 구성에서 인플루엔자 C 바이러스와 50% 유사하며, 이는 A형과 B형 사이의 발산 수준과 유사하다. C형과 D형은 A형과 B형보다 훨씬 더 큰 발산 수준을 보인다.[1][6] 인플루엔자 C 및 D 바이러스는 1,500년 이상 전인 서기 482년경에 단일 조상으로부터 분화되었고, 인플루엔자 D 바이러스는 현재 2개의 계통으로 나뉘며, 이는 45년 전인 서기 1972년경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1]
3. 1. 변이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외피를 가진 RNA 바이러스이며 단일가닥 유전체를 가진다.[23][29]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표면에 당단백질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당단백질들은 돌연변이(항원소변이)나 재배열(항원 이동)을 겪을 수 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은 항원소변이와 항원 이동이 모두 가능하지만, C형과 D형은 항원 이동만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다.[26][5] 항원소변이나 항원 이동이 일어나면, 면역계가 생성한 항체가 더 이상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4. 검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은 A형 및 B형과 증식 요건이 달라 분리 및 확인이 쉽지 않다.[17] 진단은 바이러스 분리, 혈청학 및 기타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35][17]
혈청학적 방법으로는 헤마글루티닌 억제(HI)가 사용된다.[36][18] 항체를 첨가하여 색 변화를 통해 단백질의 존재를 검출하는 웨스턴 블랏이나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도 혈청 검사에 사용된다.[37][19] ELISA는 HI보다 HEF에 더 좋은 반응성을 보인다.[28][10]
C형과 D형은 에스테라아제를 생산하므로, C형과 D형에 한정해 검사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in situ 에스테라아제 검정을 실시하는 것이 더 빠르고 저렴하다.[34][16]
5. 예방 접종
인플루엔자바이러스 C형과 D형은 항원 이동을 보이지 않아 유행하는 성격이 없다. 따라서 이 두 바이러스에 대한 사람 대상 백신은 존재하지 않는다.[27] 소를 대상으로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D형을 이용한 백신이 개발되었으나, 현재 임상실험 중이다.[23]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는 알려진 모든 아형을 포함하는 동물 저장소를 가지고 있으며 항원 변이를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유행을 일으킬 수 있다.[10] 인플루엔자 A형과 B형 바이러스 또한 항원 변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매년 계절성 유행을 일으킨다.[4] 그러나 인플루엔자 C형과 D형 바이러스는 이러한 능력이 없으며, 어떤 유행에도 관련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 인플루엔자 C형 또는 D형 바이러스에 사용할 수 있는 인간 백신은 없다.[6] 소를 위한 불활성화된 인플루엔자 D형 바이러스 백신이 개발되었지만, 이 백신은 실험에서 부분적인 보호만 제공했다.[1]
참조
[1]
논문
Novel Influenza D virus: Epidemiology, pathology, evolution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2017-08-25
[2]
웹사이트
New virus gets official name, influenza D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18-09-28
[3]
논문
Comparing Influenza Virus Biology for Understanding Influenza D Virus
2022-05
[4]
웹사이트
Types of Influenza Viruse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2-02-22
[5]
웹사이트
Microbiology and Immunology On-line
http://pathmicro.med[...]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School of Medicine
2009
[6]
웹사이트
Influenza C and Influenza D Viruses
https://www.swinehea[...]
2018-09-28
[7]
논문
Origin and Evolution of Influenza Virus Hemagglutinin Genes
https://academic.oup[...]
Ocford Academic
2001-04
[8]
논문
Divergent Influenza-Like Viruses of Amphibians and Fish Support an Ancient Evolutionary Association
[9]
논문
Evidence for an ancient aquatic origin of the RNA viral order Articulavirales.
https://www.ncbi.nlm[...]
[10]
웹사이트
Review of latest available evidence on potential transmission of avian influenza (H5H1) through water and sewage and ways to reduce the risks to human health
http://apps.who.int/[...]
2006
[11]
서적
Poultry Diseases
https://archive.org/[...]
Elsevier
[12]
논문
Influenza virus assembly: effect of influenza virus glycoproteins on the membrane association of M1 protein
[13]
논문
The influenza virus nucleoprotein: a multifunctional RNA-binding protein pivotal to virus replication
[14]
논문
A seven-segmented influenza A virus expressing the influenza C virus glycoprotein HEF
[15]
논문
Structural basis for membrane fusion by enveloped viruses
[16]
논문
Detection of influenza C virus by using an in situ esterase assay
1989-05
[17]
논문
Clinical features of influenza C virus infection in children
[18]
논문
Sero-epidemiological survey of influenza C virus infection in Spain
[19]
서적
Principles of Biochemistry
[20]
간행물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種類を教えてください"
メディカルレビュー社
2019
[21]
간행물
新しい―D型―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
https://doi.org/10.2[...]
日本ウイルス学会
2017
[22]
웹사이트
牛のD型インフルエンザを国内で初めて検出
https://www.a.u-toky[...]
2021-07-29
[23]
논문
Novel Influenza D virus: Epidemiology, pathology, evolution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2017-08-25
[24]
웹인용
New virus gets official name, influenza D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18-09-28
[25]
웹사이트
Seasonal Influenza (Flu)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03-22
[26]
웹사이트
Microbiology and Immunology On-line
http://pathmicro.med[...]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School of Medicine
2009
[27]
웹인용
Influenza C and Influenza D Viruses
https://www.swinehea[...]
2018-09-28
[28]
웹인용
Review of latest available evidence on potential transmission of avian influenza (H5H1) through water and sewage and ways to reduce the risks to human health
http://apps.who.int/[...]
2006
[29]
서적
Poultry Diseases
https://archive.org/[...]
Elsevier
[30]
논문
Influenza virus assembly: effect of influenza virus glycoproteins on the membrane association of M1 protein
https://archive.org/[...]
[31]
논문
The influenza virus nucleoprotein: a multifunctional RNA-binding protein pivotal to virus replication
[32]
논문
A seven-segmented influenza A virus expressing the influenza C virus glycoprotein HEF
https://archive.org/[...]
[33]
논문
Structural basis for membrane fusion by enveloped viruses
[34]
문서
Wagaman, Spence, O'Callaghan (1989)
[35]
논문
Clinical features of influenza C virus infection in children
[36]
논문
Sero-epidemiological survey of influenza C virus infection in Spain
[37]
서적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